안녕하세요.
정신건강사회복지 실무나 수련 과정에서 정신의학 용어는 필수적으로 접하게 된다. 특히, 정신건강은 의학적 개념을 기반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정신의학 영어 단어를 알고 있으면 현장에서의 이해도가 높아지고, 실무에서 혼란을 줄일 수 있다.
이번 글에서는 정신건강사회복지·간호·임상심리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핵심 정신의학 용어 3가지(조현병, 양극성 정동장애, 주요 우울장애)를 정리해 보았다.
1. 조현병 (Schizophrenia, SPR)
- 과거 정신분열병(Schizophrenia)이라고 불렸지만, 2000년대 이후 조현병으로 명칭이 변경됨
- '조현'이라는 단어는 '현악기의 줄을 조율하는 것'을 의미하며, 뇌의 신경구조가 조율되지 않아 혼미한 상태를 나타내는 비유적 표현
🔹 현장에서 어떻게 사용될까?
- 약어로 SPR을 사용하며, 실무에서는 "스키조(Schizo)"라고 줄여 부르기도 함
- 조현병 진단을 받은 클라이언트와 면담 시에는 망상, 환청, 사고 장애 등의 주요 증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
🔹 실무 적용 팁
✔ 조현병 내담자는 망상(Delusion), 환각(Hallucination), 사고장애(Disorganized thinking)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음
✔ 환청 증상이 강한 내담자와 면담할 때는 자극을 최소화하고, 현실 검증을 돕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
✔ 약물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정신과 치료 이력 및 복약 순응도(Adherence)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
2. 주요 우울장애 (Major Depression Disorder, MDD)
- 주요우울장애(Major Depressive Disorder, MDD)는 지속적이고 심각한 우울 상태를 의미하며, 현장에서 "MDD"라는 약어로 자주 사용됨
- 대략적인 진단 기준: 거의 매일 우울감이 지속되거나, 감정이 마른 듯한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남
🔹 현장에서 어떻게 사용될까?
- 내담자가 "우울증 진단을 받았다"고 말할 경우, 정확한 진단명이 MDD인지 아니면 기분부전장애(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, PDD)인지 확인 필요
- 우울증과 관련된 자주 사용되는 용어: Depression(우울증), Anhedonia(쾌락 감소), Hopelessness(절망감)
🔹 실무 적용 팁
✔ 내담자의 우울증 진단 이력 & 현재 감정 상태를 세밀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
✔ 자살위험평가(Suicidal Risk Assessment)를 병행하여, 내담자의 자살사고 여부를 체크
✔ 약물치료 및 심리치료(인지행동치료, 상담 등)가 병행될 수 있으므로 정신과 및 심리상담 병력 확인
3. 양극성 정동장애 (Bipolar Mood Disorder, Bipolar I/II)
- 흔히 조울증으로 불리는 질환으로, 기분이 양극단으로 변화하는 것이 특징
- 기분이 들뜬 상태(조증: Mania, Manic)와 심한 우울 상태(울증: Depression)가 반복적으로 나타남
- 현장에서는 **"바이폴라(Bipolar)"**라는 용어로 많이 사용됨
🔹 현장에서 어떻게 사용될까?
- 내담자의 기분 변화를 평가할 때 현재 조증 상태인지, 우울 상태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
- "조증 삽화(Manic Episode)"가 관찰되면 현장에서 **"매닉(Manic)한 상태다"**라고 표현하기도 함
- "우울 삽화(Depressive Episode)"가 반복되는 경우, Bipolar II형일 가능성이 높음
🔹 실무 적용 팁
✔ 내담자의 조증 & 우울증 삽화 히스토리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
✔ Bipolar I vs Bipolar II 감별: 조증 삽화가 주요하면 Bipolar I, 경조증(Hypomania)과 우울증이 주요하면 Bipolar II
✔ 조증 삽화 중에는 내담자가 자극적인 행동을 하거나 충동적인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아 세밀한 모니터링 필요
정신건강사회복지 현장에서 자주 접하는 조현병(Schizophrenia), 주요우울장애(MDD), 양극성 정동장애(Bipolar)는 실무에서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할 개념이다.
이 용어들을 알고 있으면 정신과적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, 내담자의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.
실무에서 이러한 정신의학 용어를 자연스럽게 익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.
'복지사업 > 정신건강복지·의료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신건강의학에서 병식(Insight)이란? – 정신상태검사(MSE)와 병식의 6단계 분석 (정신건강사회복지,정신건강간호,정신건강임상심리) (4) | 2025.03.12 |
---|---|
정신건강 용어 제대로 알기! 정신병, 정신질환, 정신장애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 (0) | 2025.03.08 |
우울할 때 하면 좋은 행동 Top 5 - 과학적으로 입증된 방법 (의외의 행동은?) (4) | 2025.03.07 |
정신건강복지정보) 정신장애 등록 & 신청 절차 총정리 (조현병·F코드 진단 기준 포함) (6) | 2025.03.06 |
조현병 증상 완벽 정리: 양성증상 vs. 음성증상 차이 및 치료 예후 (2) | 2025.03.06 |